Azure 가격 계산기 활용법
1. 개요:
Azure나 AWS를 사용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비용입니다.
테스트용으로 서비스를 실행시킨 상태로 어디 잠깐 여행이라도 갔다온다면 꽤나 가슴 아픈 경험을 하게 될 수도 있고
클라우드 비용은 사용량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에 예상 비용을 미리 계산하는 게 필수인데요
이 도구를 활용한다면 예상 사용량을 기반으로 미리 비용을 계산하고 다양한 절감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2. 구성 요소:
Azure의 대표적인 리소스는 다음과 같이 비용이 달라집니다
Virtual Machines (VM) : CPU, RAM, OS, 리전에 따라
Storage : 디스크 유형(SSD/HDD), 크기, 사용량에 따라
Networking : 아웃바운드 데이터 전송량에 따라
세부 구성 요소
요소 | 설명 |
리전 | 데이터 센터 위치에 따라 |
사용 시간 | 실행한 시간 만큼 |
예약 인스턴스 | 길게 예약 시 할인 적용 커짐 |
스팟 인스턴스 | 일시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 가능 |
스토리지 종류 | Standard HDD < Standard SDD < Premium SSD |
트래픽 비용 | 인바운드 (무료) ㅡ 아웃바운드 (유료) |
3. 진행 과정:
가상 머신 가격 계산하기
Azure의 대표적인 가상 머신을 추가했을 때 가격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가격 계산기 | Microsoft Azure
특정 시나리오의 Azure 제품 및 기능을 구성하고 해당 비용을 예측하세요.
azure.microsoft.com
가격계산기 접속한 후 가상 머신을 클릭해주면
밑에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는 창이 나오고 표시된 것처럼 절약 플랜을 쓴다거나, 예약, 스팟 인스턴스 사용 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싱 프로그램이라고 맨 밑에서 4가지 정도를 볼 수 있는데요
MCA 는 Microsoft 고객 계약
EA는 기업 계약
CSP는 클라우드 솔루션 공급자이고
MOSA는 온라인 정기가입 예약 이라고 합니다 참고하면 될 듯 합니다.
이상 간단하게 가격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Azure Cost Management나 온프레스 vs Azure 비용 비교(TCO 계산기) 에 대해서도 천천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