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 TCO 계산기
1. 개요:
TCO(Total Cost Of Ownership 총 소유 비용) 는 IT 인프라를 운영하는데 드는 총 비용을 의미하는데요
단순히 VM, 스토리지 같은 리소스 가격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유지보수까지 전부 포함해서 비교하는 개념입니다.
정리하자면, 온프레미스 vs Azure 클라우드 비용을 비교해서 어떤 것이 더 합리적인지 알 수 있습니다.
2. 구성 요소:
크게 4가지 비용 요소를 고려하는데요
- 하드웨어 비용 (Hardware Costs)
- 소프트웨어 비용 (Software Costs)
- 운영 비용 (Operationa Costs)
- 보안 및 규정 준수 비용 (Security & Compliance Costs)
3. 진행 과정:
Azure TCO Calculator 접속
Total Cost of Ownership (TCO) Calculator | Microsoft Azure
Total Cost of Ownership (TCO) Calculator | Microsoft Azure
The Azure Total Cost of Ownership(TCO) Calculator is used to estimate the cost savings you can achieve by migrating your application workloads to Microsoft Azure.
azure.microsoft.com
기본 온프레미스 환경 입력
서버 설정 내에서는 워크로드, 환경, 운영 체제, 운영 체제 라이선스 (Windows Server -Standard/Datacenter), 환경 내의 서버 개수 등을 자세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DBMS 엔진부터 해서 서버 개수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지와 네트워크 환경까지 온프레미스 실제 환경에 맞춰 구성해주면
가정 조정
가정 조정 부분에서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비용 요소를 조정하고 좀 더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하드웨어 교체주기, 전력 비용, IT 인력 비용, 네트워크 비용, 디스크 비용, 백업 비용, 재해 복구 비용 까지 설정할 수 있는데요
최종적으로 절감되는 예상 비용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참고 자료
Azure 가격 책정 계산기로 비용 예상 - Microsoft Cost Management | Microsoft Learn
Azure 가격 책정 계산기로 비용 예상 - Microsoft Cost Management
이 문서에서는 Azure 가격 계산기를 사용하여 예상 사용량을 예상 비용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므로 Azure 사용량에 대한 계획 및 예산을 더 쉽게 수립할 수 있습니다.
learn.microsoft.com